• STEP 1. 서론
  • STEP 2. 본론
    • STEP 2. StatelessWidget vs StatefulWiget
      • STEP 2.1 StatelessWidget vs StatefulWiget
      • STEP 2.2 Stateless Widget
      • STEP 2.3 Stateful Widget
        • STEP 2.3.1 State란?
      • STEP 2.3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 선택 방법
  • STEP 3. 결론
  • STEP 4. Reference

Flutter - Widget, State, BuildContext 그리고 InheritedWidget Part 1

STEP 1. 서론

Flutter 공식팀에서 Flutter에 대해서 소개하는 한 줄 코멘트가 있다.

In Flutter, almost everything is a Widget.

말 그대로 Flutter가 가장 강력한 이유라고 볼 수 있는 것이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Material Design의 Widget들을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에 대한 속성 값을 변경하여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게 해놨다는 점이다.

우리는 단순하게 이게 어떠한 모양의 위젯이고, 어떤 속성을 갖고있으므로 어떠한 부분을 커스터마이징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바꾸면 된다. 정도만 해도 누구나 손 쉽게 어플리케이션 UI를 제작하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계속해서 강의를 들으면서 쓸데없는 시간 낭비라고 혹자는 말할지는 모르겠지만, 궁금한 부분이 생겨났었고 오늘은 그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자 한다.

STEP 2. 본론

플러터에서는 거의 모든 것이 위젯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만든 위젯은 어떠한 방식으로 렌더링이 되는 것일까? 바로 위젯트리에 의해서 렌더링을 하게 된다.

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MaterialApp(
      title: 'Flutter Demo',
      theme: ThemeData(
        primarySwatch: Colors.blue,
      ),
      home: MyHomePage(title: 'Flutter Demo Home Page'),
    );
  }
}

class MyHomePage extends StatefulWidget {
  MyHomePage({Key key, this.title}) : super(key: key);
  final String title;

  
  _MyHomePageState createState() => _MyHomePageState();
}

class _MyHomePageState extends State<MyHomePage> {
  int _counter = 0;

  void _incrementCounter() {
    setState(() {
      _counter++;
    });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affold(
      appBar: AppBar(
        title: Text(widget.title),
      ),
      body: Center(
        child: Column(
          mainAxisAlignment: MainAxisAlignment.center,
          children: <Widget>[
            Text(
              'You have pushed the button this many times:',
            ),
            Text(
              '$_counter',
              style: Theme.of(context).textTheme.display1,
            ),
          ],
        ),
      ),
      floatingActionButton: FloatingActionButton(
        onPressed: _incrementCounter,
        tooltip: 'Increment',
        child: Icon(Icons.add),
      ), // This trailing comma makes auto-formatting nicer for build methods.
    );
  }
}

위의 소스코드는 Flutter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처음 생기는 카운터 예제 어플리케이션이다.

위에서부터 차근차근 살펴보겠다.

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MaterialApp(
      title: 'Flutter Demo',
      theme: ThemeData(
        primarySwatch: Colors.blue,
      ),
      home: MyHomePage(title: 'Flutter Demo Home Page'),
    );
  }
}

우리 어플리케이션의 최상위 노드라고 볼 수 있는 Myapp 클래스이다. 이 Myapp 클래스는 StatelessWidget 을 상속하여, build() 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해서 위젯을 렌더링하게 된다.

이때 리턴 값으로 MaterialApp() 객체가 반환되는데 이 객체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하고, home: MyHomePage(title: 'Flutter Demo Home Page') 을 보자, 대충 이 객체가 무엇을 하는 놈인지는 모르겠지만, 웹 개발을 했던 사람이라면 home이라는 속성은 무엇인가 메인 페이지를 그릴 것 같다는 뉘앙스가 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 그럼 아래 클래스를 봐보자.

class MyHomePage extends StatefulWidget {
  ... (중략) ...
}

class _MyHomePageState extends State<MyHomePage> {
  ... (중략)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affold(
      appBar: AppBar(
        title: Text(widget.title),
      ),
      body: Center(
        ... (중략) ...
      ),
      floatingActionButton: FloatingActionButton(
        ... (중략) ...
      ), 
    );
  }
}

위의 코드를 보면 길게 보이겠지만 하나하나 뜯어보면 별 거 없다. 아까전에 언급했듯이 MaterialApp() 의 프로퍼티 속성으로 정의된 이 부분에서 home: MyHomePage(title: 'Flutter Demo Home Page')
MyHomePage 객체 부분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여기서도 build(BuildContext context) 부분만 보자면, 얘는 다시 Scaffold() 객체에 프로퍼티들을 정의한 후 리턴하는 놈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대충 결과물에 대해서 그려보자면 이런식으로 그려진다고 볼 수 있다.

Flutter-Start-Project

이를 위젯 트리 형식으로 그려보자면

Flutter-Start-Project WidgetTree

이러한 형식으로 그려질 것이다.

자 이제 좀 더 깊게 들어가보자, 그렇다면 우리가 위젯을 렌더링할 때 사용하는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빌드컨텍스트는 무엇일까?

빌드컨텍스트(BuildContext)는 빌드 된 모든 위젯 트릭 구조 내의 위젯 위치에 대한 참조이다. 즉, 트리의 부모자식 관계를 구성하기 위한 변수라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 내용을 정리하자면

  • 위젯트리 : Flutter에서 위젯 렌더링을 위해 위젯의 부모자식관계를 표현하는 것
  • 빌드컨텍스트 : 빌드된 위젯 트리 구조 내에 위젯 위치에 대한 참조값

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위의 예제코드에서 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class MyHomePage extends StatefulWidget 에서의 StatelessWidgetStatefulWidget 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일까?

STEP 2.1 StatelessWidget vs StatefulWiget

Flutter에서 제공하는 위젯들은 크게 타입이 2가지로 나뉘어지게 된다.

  1. StatefulWidget
  2. StatelessWidget

이름에서도 뭔가 느낌이 오지않는가? Stateful Wiget은 상태 값(state)이 변화하는 위젯이라고 볼 수 있으며, Stateless Widget은 상태 값이 변화하지 않는 위젯이라고 볼 수 있다.

STEP 2.2 Stateless Widget

이 위젯은 빌드 타이밍에 부모로 부터 받은 정보에 의존하는 컴포넌트이다.

즉, 한 번 빌드되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말입니다.

예시로는 Text(), Container(), Column() 등이 있다. 이러한 위젯들은 빌드할 때 파라미터를 단순히 전달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를 전달해 한번 적용되면 다시 빌드를 하기 전까지는 변하지가 않는 위젯이다.

다시 위의 예제 코드를 살펴보자.

void main() => runApp(MyApp());

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MaterialApp(
      title: 'Flutter Demo',
      theme: ThemeData(
        primarySwatch: Colors.blue,
      ),
      home: MyHomePage(title: 'Flutter Demo Home Page'),
    );
  }
}

우리가 실행시킬 Main UI가 담긴 MyApp 클래스가 StatelessWidget이라고 볼 수 있다. 이 StatelessWidget의 라이플 사이클은 매우 단순하다. build() 메소드를 오버라이딩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

STEP 2.2 StatefulWidget

StatefulWidget과 같은 경우에는 위젯이 살아있는 경우, 내부 데이터를 다루는 위젯이다. 따라서 데이터는 위젯이 살아 있는 동안 동적으로 변한다.

이게 바로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동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의 집합State라 부른다.

즉, StatefulWidget과 StatelessWidget의 가장 큰 차이점은 내부에 State를 갖고있는가? 없는가?로 볼 수 있다.

StatefulWidget과 같은 경우에는 내부에 State를 갖고 잇으며, 예로는 Silder(), CheckBox() 등이 있다.

아래 코드가 StatefulWidget의 예시이다.

class MyHomePage extends StatefulWidget {
  
_MyHomePageState createState() => _MyHomePageState();
}

class _MyHomePageState extends State<MyHomePage> {
  ... (중략)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affold(
      appBar: AppBar(
        title: Text(widget.title),
      ),
      body: Center(
        ... (중략) ...
      ),
      floatingActionButton: FloatingActionButton(
        ... (중략) ...
      ), 
    );
  }
}

StatelessWidget과 조금 다른 점은, 클래스가 StatefulWidget과 State위젯으로 나뉘어진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 나 또한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성능차이 때문에 분할했다는 내용을 많이 보았다. (틀렸으면 지적부탁드립니다.)

그렇다면 StatefulWidget의 라이프사이클은 어떻게 될까?

StatefulWidget lifeCycle

  1. createState()
  • Flutter가 StatefulWidget을 만들 경우 즉시 실행
  1. mounted is true
  • createState()가 호출되면 buildContext가 state에 할당됌.
    • this.mounted = true : buildContext가 state에 할당완료
    • this.mounted = false : buildContext가 state에 할당실패
    -> false일 경우 setState() 호출 시 에러 발생 가능성 존재
  1. initState()
  • 위젯 인스턴스를 만들기 위해 BuildContext를 이용해 데이터 초기화
  1. didChangeDependencies()
  • initState() 호출 이후 실행 의존하는 객체가 호출될 때마다 호출
  1. build()
  • 위젯을 리턴
  • setState() 호출될 때마다 호출된다.
  1. didUpdateWidget(Widget oldWidget)
  • 부모 위젯이 업데이트 되거나 이 위젯을 다시 만들 경우 호출
  1. deactivate()
  • 해당 widget이 트리에서 제거되는 순간 호출
  1. dispose()
  • 모든 렌더링이 완전히 끝난 후, 자원 해제를 위해 호출
  1. mounted is false

자세한 내용은 Newbie Chapter 4. Widget’s state - nhancv’s blog을 참고해보도록 하자. 라이플 사이클만 봐도 Stateful Widget은 State가 관리되는 것이 핵심이라고도 볼 수 있어보인다. 그렇다면? State는 정확히 무슨 일을 할까?

STEP 2.2.1 State란?

위에서 설명한 대로 State의 정의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의 집합이고, 이걸 프로그래밍적으로 보자면 , StatefulWidget 인스턴스의 “행동”을 정의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State는 위젯의 동작과 레이아웃을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State가 변경되면 위젯은 리빌드가 된다.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위에 Stateful Widget 라이프 사이클에서 2번 부분을 참고하면, createState() 이후에 BuildContextState에 할당되는 부분이다. 이때, State와 해당 BuildContext 사이에는 영구적인 연관관계가 생기며, State가 BuildContext를 절대 변경할 수 없게 만든다.

만약, 해당 BuildContext가 다른 트리 구조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도, State는 한번 mount된 BuildContext와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즉, State가 mount된 BuildContext가 아닌 다른 BuildContext에 접근가능하지 않게끔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STEP 2.3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 선택 방법

위에서 좀 깊게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을 다뤄봤다. 따라서 이 글을 보신 분들이라면 스스로 아래의 질문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내 위젯이 라이플사이클 동안 변경될 변수를 고려해야 하며, 변경 시 위젯이 강제로 재구성이 될 수 있는가?

스스로에게 질문을 해보고 내가 사용할 위젯이 해당 사항이 있다면, StatefulWiget으로 구성하면 되는 것이고, 아니라면 StatelessWidget으로 선택하면 된다.

위의 질문에 구체적으로 안떠올린다 하면 아래의 예시와 자신이 만들 위젯과 비교해보자.

1. 체크박스를 보여줘야하는 위젯이 있다.

체크박스의 리스트는 배열로 구성되어 있고, 배열의 원소들은 각각 객체이며 그 객체들은 제목과 상태를갖는다. 그리고, 당신이 클릭을 했을 때 배열의 원소의 상태 값이 변화한다.

-> 이 경우에는 StatefulWidget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 일까?

바로, 배열의 원소들의 상태 값을 기억하여 체크박스를 다시 그리게끔 해야되기 때문이다.

2. 회원가입을 하는 폼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폼은 유저에게 입력을 받아서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용도이다. 폼 검증은 서버 단에서 처리한다고 가정한다.

-> 이 경우에는 StatelessWidget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 일까?

바로, 폼을 검증하거나 제출하기 전에 어떠한 행동을 위젯에서 처리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

STEP 3.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StatefulWidget과 StatelessWidget에 관해서 심층적으로 분석을 해봤다.

다음에는 좀 더 깊이 들어가서 InheritedWidget에 대한 개념을 다뤄보도록 하겠다.

STEP 4. REFERENCE

  1. Widget — State — BuildContext — InheritedWidget - Flutter Community - Medium

  2. paulaner80 :: Widget, State, BuildContext 그리고 InheritedWidget

  3. Flutter Buildcontext Class - JACE SHIM

  4. Flutter Stateful Widget Lifecycle

  5. Flutter 간단 정리하기 - 박성룡 ( Andrew park ) - Medium